기후동행카드, 누적 충전 1천만 건 돌파, 따릉이까지 무제한 이용
기후동행카드, 누적 충전 1천만 건 돌파
따릉이까지 무제한 이용
서울시를 넘어 수도권을 대표하는 교통 혁신 정책으로 자리 잡은 ‘기후동행카드’가 출시 1년 2개월여 만에 누적 충전 1천만 건을 돌파했다.서울시는 4월 11일 기준으로 선불형 기후동행카드의 누적 충전 건수가 총 1천1만 건(실물 카드 690만 건, 모바일 카드 311만 건)에 달했다고 15일 밝혔다.
▲ 기후동행카드는 지난해 1월 27일 처음 도입된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으로, 지하철과 버스는 물론 공공자전거 ‘따릉이’까지 하나의 카드로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기후동행카드는 지난해 1월 27일 처음 도입된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으로, 지하철과 버스는 물론 공공자전거 ‘따릉이’까지 하나의 카드로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서울시는 시민들의 요구를 반영해 사용 지역을 김포, 남양주, 구리, 고양, 과천 등 수도권 주요 도시로 지속적으로 확대해왔다.또한 결제 방식을 다양화해 신용카드 결제와 후불형 카드도 도입,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데 힘썼다.
정식 사업 이후에는 내외국인 관광객과 단기 이용자를 위한 1일권, 2일권, 3일권, 5일권, 7일권 등 단기권도 출시되었고, 서울대공원, 서울식물원, 서울함공원 등 주요 문화시설과 연계한 할인 혜택도 제공 중이다.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의 경제적·환경적 효과를 분석하고 지속 가능한 정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전문 기관을 통한 연구 용역도 추진할 계획이다.
기후동행카드는 앞으로도 꾸준히 진화할 예정이다.우선, 오는 5월 3일부터는 성남시 구간의 지하철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되며, 하반기에는 하남시와 의정부시 지하철로도 사용 범위가 확대된다.서울시는 더 많은 지역의 시민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이용 권역을 지속적으로 넓혀나갈 방침이다.
이와 함께 청소년, 다자녀 가구,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할인 정책도 올해 하반기부터 적용될 예정이다.청소년 할인은 서울시 규제혁신 과제로 추진 중이며, 만 13~18세 청소년은 기존 요금에서 7천 원이 할인된 5만5천 원(따릉이 포함 시 5만8천 원)에 30일권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자녀 가구와 저소득층도 할인 혜택을 받는다.2자녀 가정은 5만5천 원(따릉이 포함 시 5만8천 원), 3자녀 이상 가정과 저소득층은 4만5천 원(따릉이 포함 시 4만8천 원)에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이를 위해 서울시는 보건복지부에 사회보장제도 신설 협의를 요청했으며, 비대면 자격 확인 시스템 연계도 함께 준비하고 있다.
또한 5월부터는 서울시 교통 통합 브랜드 ‘GO SEOUL(고 서울)’을 적용한 새로운 디자인의 기후동행카드도 선보일 계획이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앞으로도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더욱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지속 개선해 나가겠다”며, “교통복지와 환경이라는 두 가지 가치를 함께 실현하는 서울시의 대표 정책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